라인 원정대
http://tech.naver.jp/blog/?p=2852
요약
– 2011년 6월에 서비스를 시작해서 현재 4억명의 유저가 사용하는 메신저가 됐다.
– 2012년 12월 스페인에서는 왓츠앱의 유료화에 반발해서 많은 유저가 라인을 선택함으로써 짧은 기간에 유저가 급증. 그러나 메세지 지연, 푸쉬 연착, 밧데리 소모 문제등이 발생! 개발자 3인을 긴급 출장을 보내서 현지에서 문제를 분석. 의미있는 분석결과의 반영을 2013년 4월에 적용.
– 스페인 출장을 통해 유저의 입장에서 서비스 개선점을 찾는 노력을 계속, 그래서 동남 아시아, 중남미, 호주, 중동, 미국, 러시아등등 개발자가 직접 방문해서 현지에서 심카드를 구매해서, 거리, 호텔, 지하철, 데파트의 지하 깊숙한곳, 레스토랑등에서 테스트함. 이런 출장 멤버를 [라인원정대]라고 부르게 됨.
라인 원정대
– 클라개발, 서버개발, 인프라개발자등으로 2-6인으로 구성
– 출장기간은 국가의 크기에 다르지만, 3-5일 정도 체류
– 국가특유의 네트워크특성이나, 인터넷품질, 배포전 실제환경에서 문제없는가 테스트
– 현지의 사람에게 의견을 듣기도함.
– 비행기내 와이파이에서도 라인이 된다고함?!
라인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쳐
– 유저와 서버간의 레이턴시를 줄이기위해 세계 각지에 POP(자사 IDC를 의미하는 듯)를 설치.
– 클라에서는 가까운 POP를 선택하도록되어 있음
– 인터넷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위해, (유저가 사용하는 버젼같은)다양한 환경에 대해 다른 설정을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을 적용함.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적용. 다양한 파일 다운로드 방식 적용 등..
앱리뷰
– 유저의 리뷰를 국가/언어/버젼/키워드별 어플리케이션 리뷰수와 스코어를 분석가능하게함.
라인 성능 인덱스
– 라인의 기업문화의 한가지는 ‘숫자’로 보고 판단하는 것. 라인의 품질, 개선방법의 결정. 업데이트를 통한 결과의 확인을 전부 ‘숫자’로 측정 & 개선.
– Analytics를 위한 Big data분석을 위해 Hadoop을 사용중.